가끔 선불카드의 잔고가 부족하여 하이패스를 통과할 때 '정상 납부되지 않음' 이 뜰 때는 내가 마치 잘못을 저지르는 것처럼 느껴지고, 과태료가 붙는 건 아닌지?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을 해본 경험을 하신 분들이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이패스 미납요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황별 처리방법
1. 하이패스 전용으로 들어가서 일반 톨게이트로 나오는 경우
일반 톨게이트로 들어가서 발권 후 도로에 진입해야하는데 그냥 하이패스 전용 입구로 들어간 경우인데요. 이럴 때는 목적지의 톨게이트에서 상황설명을 하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2. 정상적으로 통행권 발권 후 나갈 때 하이패스로 나가버린 경우
3. 선불하이패스 카드와 연계된 계좌의 잔고가 부족하여 미납이 되는 경우
2, 3번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차량이 등록된 주소지로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이때 납부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시는 경우 귀찮아서 바로 대응하지 않으면 누적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겠죠..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납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미납요금 납부 방법
1. 하이패스 홈페이지를 통한 납부
하이패스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하이패스 미납요금 조회 후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2. 어플을 이용하여 납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고속도로 통행료' 어플을 다운받고 실행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3. 휴게소의 하이패스 센터를 방문하여 납부
휴게소의 하이패스 센터를 방문하면 하이패스 미납요금 수납기를 이용하여 미납요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4. 편의점을 통한 조회와 납부
거의 대부분의 편의점에서 고속도로 이용요금 미납금을 납부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편의점에 들린 김에 미납요금을 처리할 수 도 있겠죠..
5. 전화를 통한 납부
도로교통공단(1588-2504)으로 전화하여 납부하실 수도 있습니다.
● 미납통행료 조회에 들어갔는데 조회가 안된다면?
아마도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이 홈페이지 방문 또는 어플을 통한 납부일 것입니다.
이 때 자신의 카드가 등록이 안되어 미납요금을 조회했는데도 내역이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여러 선불카드 사업자가 분리되어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하이패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등록' 절차를 통해서 카드를 '연계'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로그인 후 나의 하이패스 > 마이페이지> 내 하이패스카드의 카드관리로 들어갑니다.
자신의 카드를 선택해서 조회한 후 등록을 눌러주면 그때부터 내역조회, 미납요금 조회 등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 주의 사항 2가지
1. 고속도로에서 하이패스로 진입을 잘 못했다고 해서 절대 멈추거나 돌발행동을 해서는 안됩니다.
이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당황한다고 해서 돌발행동을 해서는 안됩니다.
요금 문제는 어떻게든 다 해결되는 문제이므로 그대로 통과하시면 됩니다.
고속도로 출구를 잘 못 내린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설마 그런 일이 있을까 생각하지만 실제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2. 상습적으로 미납해서는 안됩니다.
일정 횟수 이상이면 10배 과태료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유료도로법 시행령 제14조(부가통행료의 부과ㆍ수납) 법 제20조제1항에서 “면탈 또는 할인받은 통행료의 10배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부가통행료”라 함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의 행위를 함으로써 면탈하거나 할인받은 통행료의 10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말한다. <개정 2004. 12. 31.>
1. 통행을 표시하는 증표(이하 “통행권”이라 한다)나 통행료의 납부수단으로 이용되는 카드 또는 기계장치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통행료를 면탈 또는 할인받는 행위
2. 자신의 통행권을 타인의 통행권과 교환하여 통행료를 면탈 또는 할인받는 행위
3. 통행료의 감면대상자임을 증명하는 증표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통행료를 면탈 또는 할인받는 행위
4. 타인 소유의 통행료 감면대상자임을 증명하는 증표를 행사하여 통행료를 면탈 또는 할인받는 행위
5. 그밖에 통행료를 납부하지 아니하고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행위
댓글